광주광역시 영락공원 내에 불법상행위가 해마다 기승을 부리고 있다. 그런데도 관리주체인 도시공사에서는 단속이나 조사는 하지 않고 입구에" 불법 상행위금지"라는 현수막만 내걸엇을 뿐, 실질적인 단속 실적은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영락공원은 광주와 전남권의 대표 공영 화장장으로 하루에도 수백명의 유가족이 방문을 하고 있다. 여기에다 추모관까지 합치면 몇배의 유가족이 방문을 하고 있고 주말이나 휴일에는 교통혼잡도 일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도 영락공원 내부 곳곳에는 무단으로 장례용품을 판매하거나, 허가 받지않는 상행위를 하는 사례가 반복 되고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관리 감독해야하는 책임이 있는 기관이 단속주체도 명확히 하지 않고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는 점이다. 도시공사는 관리주체라며 현수막 하나 걸어놓고 실질적인 단속은 하지않고 경찰이나 관할지자체로 떠넘기고 있다.
그러나 경찰과 지자체는 단속 권한이 애매하다며 손을 놓고 있는 현실이다.
앞으로 곧 다가올 윤달(7월25일)에는 조상 산소 이장과 벌초를 할 수요가 폭증하며 영락공원 방문객이 두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불법 상인들도 이시기에는 윤달 특수를 노리고 더욱 활개칠 것으로 보여 유가족들이 피해를 떠않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영락공원내 제2추모관은 공간이 부족해 유가족들이 영상제례실을 이용하기 위해 줄을 서야하는 실정이며 잠깐 머물수 있는 공간도 부족해 명패만 잠시 보고오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여기에 불법 상행위까지 성행하면서 유가족들의 슬픔과 혼잡은 가중되고 있다.
영락공원을 찾은 한 유가족은 "가뜩이나 주차장도 좁고 제례실도 부족한데, 불법 상인과 일부 관계자들로 인해 마음놓고 추모하기가 어렵다"며 시나 도시공사가 실질적인 단속을 해야한다"고 호소했다.
시민단체와 유가족들은 오는 윤달을 앞두고 영락공원 관리와 단속 시스템 전반의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본지는 이번 기흭 취재를 통해 불법 상행위 실태와 관리감독의 허점을 계속하여 조명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