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비 서울 16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티커뉴스
OFF
뉴스홈 > 광주전남뉴스 > 광주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광주남구 문예회관 노래교실 운영위원회 심페소생술 교육 진행
사단법인 세계건강생활진흥연맹 강사들 초빙 문예회관 공연장에서
등록날짜 [ 2024년07월25일 19시21분 ] | 최종수정 [ 2024년07월26일 19시42분 ]

 

 

▶ 이론교육이 끝나고 각 조별로 50명씩 무대위로 올라와 직접 실습해 보고 있다 

 

 

우리는 신문, TV등을 통해 길가던 시민의 심장정지 상황을 목격하고 신속한 심폐소생술로 생명을 살린 사례를 종종 보고 있다.

 

심장정지 발생 후 환자의 생사를 결정 지을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을 우리는 ‘4분의 기적 골든타임’ 이라고 부른다.

 

골든타임을 지키는 심폐소생술 교육이 2024년 7월25일 광주 남구 문예회관 공연장에서 문예회관노래교실( 운영위원장 김명옥) 회원과 남구 주민 300여명을 대상으로 1시30분부터 4시까지 진행되었다.

 

심폐소생술 등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에 대한 교육 진행은 광주광역시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 수탁기관인 사단법인 세계건강생활진진흥연맹( 총재 조안순) 강사들이 함께 했다

 

심폐소생술은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골든타임 안에 뇌와 온 몸으로 로 순환시키는 응급처치 술기이다.

 

심장이 멈춘 뒤 1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할 경우 생존률은 97% 이상으로 증가하지만 ‘골든타임’인 4분을 지나고 타이밍을 놓치면 뇌세포 손상이 시작되기에 신속한 심폐소생술과 적절한 응급처치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첫째, 쓰러진 환자를 발견하면 양손으로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의식을 확인한다.

 

 

 

.▶ 교육이 끝나고 수료증을 받기 위해 남자회원 대표들이 나와서 심페소생술을 배운대로 스스로 해 보고 있다

 
 

둘째, 골든타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변 사람을 정확히 지목해 119신고와 자동심장충격기(AED)요청을 해야 한다.

 

 

▶  심장정지가 오면 자녀들보다는 119에 신고하라는 강사의 교육을 듣고 모든 회원들이 119신고 및  도움 요청하는  장면   

 
 

셋째, 쓰러져 있는 환자의 호흡을 확인하기 위해 눈으로 가슴과 배의 오르내림을 관찰하며 호흡의 유무를 파악한다.

 

 

▶ 코로나로 감염병이 유행할 시 호흡확인은 내 자신의 안전을 위해 눈으로만 확인한다.  

 

 

호흡 없음이 확인되면 가슴뼈 1/2 아래를 손깍지 상태로 손꿈치를 이용해 성인 5㎝~6㎝ ,소아, 4~5㎝ 영아는 4㎝를 분당 100~120회 속도로 30회 압박한다.

 

 

▶ 교육 후 자발적으로 나와 테스트에 임하고 있는 노래교실 회원

 
 

넷째, 자동심장 충격기를 사용하면여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인 부정맥을 정상으로 돌아오게 한다.

자동심장충격기 상용으로 소생률을 높일수 있기에 지자체에서 의무설치기관이 아니더라도 보급을 확대해 가는 추세이다.

   

 

▶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교육을 하고 있는 사단법인 세계건강생활진흥연맹 강사들

 

 

심폐소생술은 환자의 호흡이 돌아오거나 119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지속하면 된다.

이론과 실습을 80분 이상 수료자에게는 심폐소생술 수료증이 발급 된다.


한편 사단법인 세계건강생활진흥연맹은 광주광역시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수탁기관으로서 안전하고 건강한 광주시를 만들기 위해 요람에서 무덤가지 응급처치 안전교육의 생활화로 모든시민이 사람살리는 일에 동참 할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였다. 

 

 

<정의로운 한국뉴스>
<저 작 권 자(c) 인터넷 한국뉴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려 0 내려 0
조안순 기자, 메일: jas1717@naver.com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남구, 가족관계 ‘껄끄러운 고민’까지 풀어준다 (2024-07-29 12:57:14)
남구, 장애인 일터 ‘반다비 카페’ 문 열었다 (2024-07-25 14:4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