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구름많음 서울 24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대구경북뉴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대구한의대, AI 기반 처방 검색 시스템 ‘K-Medi Bot’ 개발
– 일상 언어로 입력하면 『동의보감』 처방 제시… 한의 진료 접근성 높여 –
등록날짜 [ 2025년07월09일 08시16분 ] | 최종수정 [ 2025년07월09일 08시19분 ]

 

▲ 대구한의대학교 정문 전경

 

대구한의대학교(총장 변창훈)는 송지청 교수(한의예과) 연구팀이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인공지능(AI) 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으로 활용 가능한 처방 검색 시스템 **‘K-Medi Bot’**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의학 고전 지식인 『동의보감』을 AI 기술로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사용자가 “변이 묽게 나와요”,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안 돼요”와 같이 일상 언어로 증상을 입력하면, 시스템이 이를 자동으로 한의학 병증과 연결해 『동의보감』 내 적합한 처방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K-Medi Bot’**은 한의학 전문용어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자연어 처리 기술을 통해 증상을 분석하고 병증을 도출한 뒤, 가장 적합한 처방 정보를 제공한다. 처방 구성 및 출처는 모두 『동의보감』 데이터에 기반하여 신뢰성과 일관성을 갖추고 있으며, 복합적인 증상도 인식해 정확한 검색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연구팀은 “기존 검색 시스템은 여러 증상 입력 시 오류가 발생하거나 결과가 불명확했지만, K-Medi Bot은 다수의 일상 증상을 자동 해석하고 종합적인 처방을 제시할 수 있다”며, “실제 임상에서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송지청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나, AI 기반 한의학 시스템의 실질적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추후 다양한 한의학 고전을 데이터화하여 임상 적용이 가능한 CDSS로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학생 연구원들은 “가족이나 친구가 한의학을 더 쉽게 이해하는 모습을 보며 개발의 가치를 다시 느꼈다”고 전했다.

 

변창훈 총장은 “K-Medi Bot은 누구나 쉽게 『동의보감』 처방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열었으며, 다국어 검색 기능까지 갖춰 글로벌 활용 가능성도 높다”며, “AI와 한의학의 융합은 한의 진료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의로운 한국뉴스>
<저 작 권 자(c) 인터넷 한국뉴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려 0 내려 0
최성한 기자, 메일: c6550@hanmail.net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청도군·(사)국민재난안전교육단 중앙회, ‘안전한 청도’구현을 위한 업무 협약 (2025-07-09 08:20:16)
“대구경찰청 외사자문협의회, 다문화자녀 희망장학금 전달” (2025-07-09 08:0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