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이 대통령은 25일 오후 2시30분께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국제회의실에서 ‘호남의 마음을 듣다’를 주제로 지역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후 처음으로 광주광역시를 찾아 군공항 이전 문제와 관련해 “대통령실에 전담 TF팀을 만들어 정부가 주도적으로 신속하게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김산 무안 군수, 광주·전남 국회의원, 시도민 등이 다수가 토론에 참석했다.
이 재명 대통령은 모두 발언을 통해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가 제가 민주당 대표 되기 전 때부터 불거져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이해 당사자들간 의견을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해 보고자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지난달 대선때 대통령께서 광주를 방문해 ‘국가가 주도하고, 대통령이 책임지며, 무한하고 적절한 보상을 하겠다’는 군공항 이전 3대 원칙을 제시했다”고 말하고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를 풀기 위한 그간의 노력을 소개했다.
강시장은 무안공항은 광주·전남의 관문공항이 되어야 하지만 현재 이용객이 광주공항에 비해 굉장히 적은 수준인데 “군공항 이전을 계기로 무안을 명실상부한 서남권 관문공항으로 만들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한편 김영록 지사는 광주시는 군공항 이전을 강력 추진하고 무안군은 반대해 도지사로서 입장이 어려웠다고 말하고 이제는 조정자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풀어가겠다고 말하고 이제부터는 국가가 확실히 지원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산 무안군수도 광주시가 신뢰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광주시가 2018년 민간공항 이전 협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했다고 말하고 광주시의 약속을 믿기 어렵고 국가가 주도하고 획기적인 인센티브가 제공돼야 군민을 설득할 명분이 생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이 대통령은 광주와 무안 간의 입장 차와 불신을 확인했다고 말하고 “국방부, 기획재정부, 국토부 등 관계 부처와 광주·전남, 무안을 포함한 6자 TF를 대통령실 직속으로 꾸리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불신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가 직접 책임지는 것이 맞다”며 “정부가 주관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오랜 기간 표류했던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는 이번 이 대통령 발언을 계기로 ‘연내 기본 합의 도출’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