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비 서울 17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티커뉴스
OFF
뉴스홈 >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역대 최악의 산불로 국가유산도 막대한 피해... 화재대응 가이드라인 있지만 강제성 없고 미흡한 탓에 피해 키워
- 보물 ‘의성 고운사 연수전·가운루’전소, 국가지정‘안동 만휴정 원림’등 국가유산 30여 건 심각한 피해
등록날짜 [ 2025년04월02일 22시27분 ] | 최종수정 [ 2025년04월02일 22시41분 ]

 

▲ 보물 고운사, 산불로 전소되기 전과 후

 

- 피해 복구 위한 국가유산 긴급보수사업비도 턱없이 부족

 

- 역대 최악의 산불로 국가지정 11건·시도지정 19건 등 국가유산 피해 30건 달해

- 국가지정 문화유산 18건(1,563점)·시도유형문화유산 5건(17점)·문화유산자료 1건(1점)은 소산 조치(3.28,(금) 16시 기준)

- 국가유산청 「화재등 대응매뉴얼 가이드라인」있지만, 강제성 없고 관리단체에 대한 구체적 확인절차도 없어

- 김승수 의원 "자연재해 대비 국가유산 보호 방안 마련 수차례 촉구했지만 미흡, 매뉴얼 개선 등 실질적 예방대책 마련 필요”

 

지난 21일 경남 산청, 경북 의성, 울산 울주 등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으로 번지며 국가지정 문화유산 11건과 시도지정 문화유산 19건 등 총 30건(3.30, 17시 기준)이 피해를 입은 가운데 국가유산청의 화재 대응 매뉴얼이 사실상 유명무실한 것으로 알려졌다.

 

▼ 김승수 의원(국민의힘_대구북구을)

김승수 국회의원(국민의힘·대구 북구을)이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5.3월 산불 관련 국가유산 피해 현황’에 따르면, 국가지정 문화유산 가운데 보물 2건, 명승 3건, 천연기념물 3건, 민속 3건 등 총 11건, 시도지정 문화유산 가운데 기념물 3건, 유형문화유산 3건, 민속문화유산 6건, 문화유산자료 7건 등 총 19건이 피해를 입었다.

 

▲통일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하는 유서 깊은 사찰인 보물 고운사의 가운루와 연수전은 전소됐고, ▲1700년대에 건립된 국가지정 민속문화유산인 사남고택도 전소됐으며,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인 안동 국탄댁*·송석재사**·지촌종택*** 등도 전소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조선 후기 전통가옥, 조선 후기 문신 지촌 김방걸 선생의 후손 김시정 공이 분가하면서 조선 영조 33년에 지은 집

**조선 중기 재사,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운 김철의 묘를 지키는 재실

***조선 중기 전통가옥, 김방걸 선생을 모시는 종가

 

추가적인 피해를 대비해 보물인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은 안동청소년 문화센터로,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과 오불회 괘불탱은 영주 소수박물관으로 이동하는 등 국가지정 동산문화유산 18건(1,563점)과 시도유형문화유산 5건(17점), 문화유산자료 1건(1점)은 긴급 이송조치했다.

 

문제는 피해를 입은 국가유산에 대한 신속한 지원이 절실하지만, 올해 국가유산 긴급보수비 예산 총 45억 원 가운데 15억 원은 이미 집행이 예정되어 있어 남은 예산으로는 신속한 복구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김승수 의원은 집중호우뿐만 아니라 지진과 산불 등 자연재해로 인한 국가유산의 피해 빈도와 강도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긴급보수사업비 예산이 매년 부족해 피해복구가 제때 이뤄지지 않는 실정을 지적하며 예산 증액을 요구해왔다.

 

국가유산은 한번 소실되면 복원이 어렵기 때문에 선제적 대응책 마련과 신속한 초기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2005년 4월에는 강원 양양 산불로 낙산사가 전소됐고, 2008년 2월에는 방화로 국보 1호 숭례문이 전소돼 복원에 투입된 비용만 250억 원에 달했다. 2009년 12월에는 여수 향일암 대웅전이 전소되는 등 화재로 인한 국가유산 피해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화재로 인한 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유산청의 화재 대응 매뉴얼은 사실상 유명무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가유산청 「화재 등 대응매뉴얼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동산문화유산 반출 시 1차 소산 장소 위치 2개소 이상 지정 등을 권장하고 있지만, 관리단체가 실제 가이드라인에 맞춰 대응 매뉴얼을 작성하고 있는지 등 최소한의 확인절차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승수 의원은 “국가유산의 소실은 우리의 역사를 잃는 것과 같다”면서 “화재뿐 아니라 장마나 폭우 등 자연재해에 대비하여 국가유산을 보호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 마련을 지속적으로 촉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미비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번 화재로 피해를 입은 국가유산 복구를 위한 신속하고 충분한 예산 확보 등 특단의 대책을 촉구한다”면서 “또 다시 우리 소중한 문화유산을 잃는 일이 없도록 화재대응 매뉴얼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의로운 한국뉴스>
<저 작 권 자(c) 인터넷 한국뉴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려 0 내려 0
최성한 기자, 메일: c6550@hanmail.net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이만희 의원, 국회 2025 APEC 정상회의 지원 특별위원회 국민의힘 간사 임명 (2025-04-02 22:56:01)
양부남, “제4주년 의용소방대의 날” 축하 (2025-03-19 09:2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