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비 서울 17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사회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23년 민주화운동 인식도 조사’ 결과 발표
등록날짜 [ 2023년08월29일 09시46분 ] | 최종수정 [ 2023년08월29일 09시48분 ]

 

 

2023년 민주화운동 인식도 조사

2023년 민주화운동 인식도 조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이재오, 이하 사업회)가 ‘2023년 민주화운동 인식도 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조사는 매년 전국 17개 시도의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하며, 민주화운동에 대한 국민의 생각을 묻기 위해 △민주화운동 관련 역사 인식 △민주화운동 평가 △민주화운동 정신 계승 및 참여의식으로 구성해 진행한다. 올해는 6월 16일부터 3일간 전화 면접 조사로 진행했다.

조사 결과, 올해는 지난해보다 주요 지수의 결괏값이 모두 상승했다. 민주화운동 관련 역사 인식은 전년 대비 1.6점 오른 66.0점, 민주화운동 평가는 전년 대비 2.3점 오른 82.1점, 민주화운동 정신 계승 및 참여의식은 2.1점 상승한 71.8점으로 나타났다. 이들 값을 평균한 2023년 민주화운동 인식도 종합지수는 73.3점으로, 지난해보다 2.0점 올랐다.

이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민주화운동 평가 지수의 항목을 살펴보면, 민주화운동을 자랑스럽게 여기냐는 질문에 78.7%의 응답자가 ‘자랑스럽다’고 답했다. ‘자랑스럽지 않다’고 답한 이들은 5.0%였다.

또 우리나라 민주화운동이 사회 발전에 얼마나 기여했냐는 질문에는 ‘기여했다’고 답한 국민이 80.2%였으며 ‘기여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6.4%에 그쳤다.

일상에서의 민주주의에 대해 묻는 문항에서는 우리 사회 민주주의 발전의 저해 요인으로 ‘언론·인터넷 등의 가짜뉴스’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 문항은 보기 중 우선순위 2가지를 물었는데, 가짜뉴스에 대한 응답이 47.8%로 가장 높았고 ‘정치권의 여·야 갈등’이 45.1%, ‘언론의 권력화 문제’가 33.8%로 뒤따랐다.

생활 속 민주주의 확립을 위한 우선 과제로는 ‘생각이 다른 상대를 존중하는 시민의식’이 44.2%로 가장 많은 답을 차지했고, 뒤이어 ‘비정규직 등 경제적 약자 보호’가 16.6%, ‘청년층 기회 확대’가 10.4%, ‘성별에 관계없는 평등한 권리’가 9.7%를 얻었다.

이번 조사 결과를 분석한 정일준 고려대 교수는 민주화 관련 역사 인식이 기성세대보다 2030 세대에서 낮게 나타난 것을 두고 “관심이 없다고 해석하기보다 민주화운동 관련 사건이나 인물, 배경 등에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적었기 때문에 나타난 양상”이라며 “20·30세대에게 민주주의는 이미 보편화된 가치이며, 민주화운동 역사는 완결된 역사적 전유물로 인식된다”고 평했다.

사업회 이재오 이사장은 “민주주의는 외형적인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생활화돼야 하는 것”이라며 “과거 독재와 권위주의에 맞섰던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살려 현재의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사업회도 공공기관으로서 제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정의로운 한국뉴스>
<저 작 권 자(c) 인터넷 한국뉴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려 0 내려 0
이정두 기자, 메일: tbc48@naver.com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대구한의대, IPP사업단 2022년 일학습병행 공동훈련센터 성과평가 최우수 대학 (S등급) 선정 (2023-08-29 15:21:56)
인생은 쓰지만 요리는 언제나 맛있다 (2023-08-28 10: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