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비 서울 18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정치행정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수도권·비수도권 문화콘텐츠 산업 양극화 문제 심각한 수준
- 콘텐츠 산업 연간 평균 전체 매출액 118조원 넘어, 비수도권 14조원대 불과
등록날짜 [ 2022년09월01일 22시38분 ] | 최종수정 [ 2022년09월01일 22시41분 ]

 

▲ 김승수 국회의원

 

► 콘텐츠 사업체 57.3%, 종사자 78% 등 수도권 집중화 현상 심각한 수준

► 김승수 의원 “文 정부 균형발전 정책 실패가 문화예술콘텐츠 산업 위기로 이어져”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문화콘텐츠 산업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나, 문화콘텐츠 산업의 양극화 해소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김승수 국회의원(국민의힘·대구 북구을)은 1일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5년간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 등 문화콘텐츠 사업의 연간 평균 매출액은 118조 4,851억원에 이르렀으나, 이중 수도권 매출액은 87.6%인 103조 7,864억원, 비수도권 매출액은 12.4%인 14조 6,987억원인 것으로 나타나 문화콘텐츠 산업의 양극화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기간동안 연도별 매출액을 비교해 보면, 2016년에 105조 544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고, 2020년에는 10% 증가한 128조 2,594억원을 달성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87%를 상회하고 있다.

 

같은 기간동안 문화콘텐츠 사업체 수에서도 연간 평균 10만 4,042개 업체 중 비수도권은 42.7%인 4만 4,461개 업체가 입점해 있고 나머지 57.3%인 59,581개 업체는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 수 역시 수도권에 몰려있었다. 같은 기간동안 문화콘텐츠 산업 종사자 수는 연간 평균 62만 1,281명 중 비수도권 종사자는 22%인 13만 3,895명인 반면, 수도권 종사자 수는 78% 47만 3,989명으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었다.

 

김승수 의원은 “문화예술분야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경제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문화콘텐츠 산업마저 지역 불균형이 지속된다면 비수도권의 인구감소로 지방소멸위기에 직면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지난 문재인 정부의 균형발전 정책 실패가 문화예술콘텐츠의 위기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의 지방시대위원회가 출범하면 신속하고 구체적인 중장기 문화균형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정의로운 한국뉴스>
<저 작 권 자(c) 인터넷 한국뉴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려 0 내려 0
최성한 기자, 메일: c6550@hanmail.net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정부 위원회 구조조정 나선다 (2022-09-05 09:23:23)
김승수 대회장, 문화예술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는 화합의 장 만들 것 (2022-09-01 09:3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