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흐림 서울 23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티커뉴스
OFF
뉴스홈 > 전국뉴스 > 부산경남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울산시, 자동차부품산업 환경 변화 선제적 대응 나선다
고용노동부,‘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공모 선정
등록날짜 [ 2022년04월12일 09시26분 ] | 최종수정 [ 2022년04월12일 09시29분 ]

 

▲ 울산시 엠블럼

 

► ‘고용안정 선제대응 묶음 지원’과‘지역혁신사업’협약 체결

 

울산시는 4월 12일 오전 10시 30분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고용안정 선제대응 묶음(패키지) 지원사업’과 ‘지역혁신사업(프로젝트)’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 협약식은 이 사업들이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공모 선정에 따라 함께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울산시와 고용노동부 울산고용노동지청, 북구, 울주군, 울산상공회의소(울산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울산일자리재단, 울산양산경영자총협회, 나은내일연구원이 참가한다.

 

울산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올해 ‘고용안정 선제대응 묶음(패키지) 지원사업’과 ‘지역혁신사업(프로젝트)’의 시작을 알리고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울산시와 고용노동부 울산고용노동지청, 북구, 울주군 등 4개 기관이 협약을 맺는 ‘고용안정 선제대응 묶음(패키지) 지원사업’은 고용위기가 우려되는 지역이 산업·경제 정책과 연계한 ‘중장기 일자리 사업’을 지역 주도로 계획하고 추진하면 중앙정부가 지원해 고용안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게 된다.

 

이 사업은 지난해 처음 5개년 사업으로 울산시와 북구, 울주군의 협력체(컨소시엄) 사업으로 선정됐다. 특히 올해는 2년차 사업으로 고용노동부 공모 절차를 거쳐 3월말 국비 56억 원과 지방비 14억 7,000만 원을 포함한 총 70억 7,000만 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울산시와 협력체(컨소시엄)인 북구와 울주군은 올해에도‘▲일자리 온라인기반(플랫폼) 퀄리티 업(Quality Up)’, ‘▲내연차 일자리 밸류 업(Value Up)’, ‘▲미래차 일자리 점프 업(Jump Up)’ 등 3개 계획(프로젝트) 사업을 통해 일자리 총 1,062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올해 사업에는 협력체(컨소시엄)인 북구와 울주군에서도 일부 예산을 투입하고, 구‧군 일자리지원센터에서도 자동차부품산업 고용서비스 업무를 적극 수행할 수 있도록 전담 인력을 활용하여 일자리 창출 성과 제고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울산시와 고용노동부 울산고용노동지청, 울산일자리재단, 울산양산경영자총협회 등 7개 기관이 참여하는 ‘지역혁신사업(프로젝트)’은 총 545명의 취업과 고용의 질 개선을 목표로 ‘조선업 활력 사업(프로젝트)’과 ‘석유화학 안정 사업(프로젝트)’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5개의 세부사업이 추진된다.

 

사업비는 국비 17억 4,000만 원, 지방비 6억 1,000만 원 등 총 23억 5,000만 원이 투입된다.

 

주요 사업을 보면, 케이(K)-조선 재도약, 지속 가능한 조선업 일자리 상생 생태계 조성을 위해 ▲조선업내일채움공제 사업(450명), ▲조선업 부조화(미스매치) 해소 구인구직데이터베이스(DB) 이음의 날(매칭데이) 사업, 부‧울‧경 조선업 특화 채용박람회 등이 추진된다.

 

또한, 석유화학 산업 ‘탈(脫)탄소’로의 대전환에 대응하고 고용창출 기반 마련을 위해 ▲석유화학산업 스마트 플랜트 전문인력 양성, ▲석유화학 공정 자동화 기술 고도화 지원(15개사) 사업이 실시된다.

 

이 밖에 지역 내 일자리 창출 기관 역량 강화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고용악화를 겪고 있는 위기 사업장에 맞춤형 조언(컨설팅)을 제공하고 이‧퇴직 희망자에게는 전직 프로그램 및 타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울산시와 고용노동부 울산고용노동지청, 울산상공회의소(울산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울산정보산업진흥원 등 9개 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협약을 맺었다.”며 “각 기관이 가진 경험과 기반을 적극 활용하여 일자리 창출 상승효과를 더욱 높여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기타 자세한 내용은 울산일자리포털(http://www.ujf.or.kr/job)을 통해 사업별로 게시될 안내문을 참조하면 된다.

 
 
<정의로운 한국뉴스>
<저 작 권 자(c) 인터넷 한국뉴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려 0 내려 0
최성한 기자, 메일: c6550@hanmail.net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부산시, 2030부산엑스포 응원 메시지 담은 씨유편의점 팝콘 한정 판매 (2022-04-12 10:00:03)
울산시, 농지 취득자격 심사 대폭 강화 (2022-04-11 23: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