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비 서울 17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티커뉴스
OFF
뉴스홈 > 광주전남뉴스 > 나주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나주시, 정촌고분 금동신발 보물 발굴
등록날짜 [ 2021년04월22일 10시25분 ] | 최종수정 [ 2021년04월22일 10시27분 ]

현존하는 금동신발 중 가장 완벽한 형태로 지난 2014년 출토됐던 나주시 다시면 ‘정촌고분 금동신발’이 국가 보물로 지정됐다.

 

전라남도 나주시(시장 강인규)는 21일 문화재청이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2125호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그간 삼국 시대 고분 출토 유물 중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이 국보나 보물로 상당수 지정돼왔지만 '금동신발'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촌고분 금동신발은 고대 마한과 삼국시대 대형 분구묘인 나주 다시면 정촌고분 1호 석실에서 지난 2014년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발굴했다.

 

5~6세기 무렵 영산강 유역에는 복암리 고분군, 정촌고분, 영동리 고분 등 대형 고분이 축조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 중 정촌고분은 도굴 피해 없이 매장의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 1500여년 전 마한과 백제 문화를 가장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고분이면서 고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무덤으로 꼽힌다.

 

정촌고분 1호 석실 제3목관에서 발견된 금동신발은 좌(길이 31.09cm, 너비 9.2cm)·우(길이 31.83cm, 너비 9.35cm) 신발 한 쌍이 거의 훼손되지 않은 채 완벽한 모습으로 출토되면서 학계의 지대한 관심을 받았다.

 

특히 발등 부분에 부착된 ‘용머리 장식’은 현존하는 삼국시대 금동신발 중 유일한 사례로 주목을 받아왔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금동신발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 최근 신발의 주인공을 40대 여성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이 금동신발은 형태와 제작기법, 문양 등에서 고대 금속공예 기법을 엿볼 수 있다.

 

얇은 금동판 4장으로 바닥판과 좌우 옆면판, 발목깃판을 만들어 서로 작은 못으로 연결했고 문양을 투각해 세부를 선으로 묘사한 것이 특징이다.

 

또 육각문, 용문, 인면조신(人面鳥身), 괴수문, 연화문 등 사후영생(死後永生)을 기원한 고대인들의 사후 세계관을 다양하고 정교한 문양을 통해 표현하고 있어 조형물 적으로도 매우 우수한 유물로 평가 받는다.

 

강인규 나주시장은 “정촌고분 금동신발의 국가 보물 지정에 따라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보존과 관리는 물론 우리 시가 역점 추진 중인 마한사복원 정책과제 추진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국립나주박물관, 복암리고분전시관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에 힘써 고대사 복원에 따른 나주인의 역사적 정체성 확립과 자긍심을 고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의로운 한국뉴스>
<저 작 권 자(c) 인터넷 한국뉴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려 0 내려 0
김영주 기자, 메일: 48062910@daum.net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나주경찰서,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장상 수상 (2021-04-22 18:30:43)
김상철 나주경찰서장, “착한 소비 선(先)결제 캠페인” 릴레이 챌린지 동참 (2021-04-20 19:2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