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 생명권과 안전 확보 위해 시도 간 공동 대응 필요성 제기…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17개 시도 공동건의문 채택해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논의 즉각 중단 촉구
- 부산시, 한일해협 인근 시도와 실무협의회 구성에 이어 공동건의문 안건 제출… 강력 대응
부산시(시장 권한대행 변성완)가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시·도지사들과 함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를 강력히 저지하고 나섰다.
부산시는 오늘(22일)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의 17개 시·도지사가 공동건의문을 채택하고, 현재 일본 정부에서 추진 중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논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였다고 밝혔다.
시는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를 저지하기 위해 울산, 경남, 전남, 제주 등 한일해협에 접해있는 시·도와 실무 대책협의체를 구성하고, 지난달 12일, 1차 실무협의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어 공동건의문을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에 안건으로 제출했다.
이번 건의문은 최근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이 임박해짐에 따라 국민의 생명권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대한민국 시도지사들의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채택된 것이다.
공동건의문의 주요 내용은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관련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논의를 즉각 중단하고, 관련 정보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것과 ▲국제기구를 포함한 관련 국가의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안전성 검증체계를 구성·운영할 것 ▲수산물을 포함한 모든 일본산 식품의 수입에 있어 방사능 검역을 더욱 강화할 것 등이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는 지자체 간 연대가 필요한 문제”라며 “특히 시민의 건강과 안전에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단호하고 강력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방류 저지를 위한 대한민국 시‧도지사 공동건의문>>
최근 일본 정부에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가 연내 결정될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는 인접 국가에 치명적인 위험은 물론 지구촌 전체의 해양환경 보호와 태평양 연안도시들의 생명권 확보를 위해서라도 절대 강행해서는 안 될 일이다.
일본과 한·일 해협으로 접해있는 부산, 울산, 경남, 전남, 제주 등의 시·도들은 대한민국 정부가 국민의 생명권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일본 정부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를 저지할 것을 요청하며 공동 대응하고 있다.
이에 우리 대한민국 시도지사는「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방류 저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공동 대응해 나갈 것을 다짐하면서, 정부에 다음과 같이 건의한다.
첫째,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논의의 즉각 중단을 촉구하고, 이와 관련한 정보를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둘째, 국제기구를 포함한 관련국가의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안전성 검증체계를 구성·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수산물을 포함한 일본산 식품의 수입에 있어 방사능 검역을 더욱 강화하여야 한다.
2020년 12월 22일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전라북도지사) 송 하 진, 서울특별시장권한대행 서 정 협, 부산광역시장권한대행 변 성 완, 대구광역시장 권 영 진, 인천광역시장 박 남 춘, 광주광역시장 이 용 섭, 대전광역시장(감사) 허 태 정, 울산광역시장 송 철 호, 세종특별자치시장 이 춘 희, 경기도지사(부회장) 이 재 명, 강원도지사 최 문 순, 충청북도지사 이 시 종, 충청남도지사 양 승 조, 전라남도지사 김 영 록, 경상북도지사 이 철 우, 경상남도지사 (부회장) 김 경 수,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원 희 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