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흐림 서울 17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사회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경북대 배종섭 교수팀, 코로나로 인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진단 마커 발굴
등록날짜 [ 2020년09월03일 17시40분 ] | 최종수정 [ 2020년09월03일 17시44분 ]

 

▲ 경북대학교 배종섭 교수

 

경북대 약학대학 배종섭 교수팀이 코로나19 감염에 의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ARD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을 진단할 수 있는 단백질을 발굴했다.

 

배종섭 교수팀은 코로나19 감염 환자와 감염에 의해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진행된 환자에서 Wnt계(Wnt family) 단백질 중 Wnt5a와 Wnt11의 혈중 농도가 유의적인 차이로 관찰되는 것을 확인했다.

 

배 교수팀은 염증 유도 단백질로 알려진 Wnt5a는 코로나19 감염 후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이 진행된 환자에서 급증했으며, 항염증 기능이 있는 Wnt11은 코로나19 감염 환자에서 급증했지만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이 진행된 환자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에 의해 사망한 환자는 특이적으로 Wnt5a는 증가했지만 Wnt11은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배 교수팀은 코로나19 환자의 혈액 내 말초혈액단핵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에 Wnt11 단백질을 처리한 결과, 염증성 전사인자인 ‘엔에프-카파비(NF-kB)’의 활성이 감소하고, 사이토카인 생성이 억제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배종섭 교수는 “이번 단백질 발굴이 코로나19의 대표적 합병증인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특히 Wnt11 단백질은 향후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한 타깃 단백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배 교수팀과 함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원화 박사, 영남대병원 호흡기센터 최은영 교수, 충남대 생화학과 김완태 교수와의 공동 연구로 진행했으며,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연구중심병원R&D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종합과학 분야 세계적인 권위지인 ‘유럽 호흡기 저널 (IF=12.339,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8월 27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 Wnt5a and Wnt11 a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biomarkers for SARS-CoV-2 patients
(SARS-CoV-2 환자의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을 예측/진단하는 혈액 바이오 마커인 Wnt5a와 Wnt11)

 

- 교신저자: 배종섭/경북대학교

- SCI, JCR 상위 6.25 %, IF 12.339

-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Early View 게재 (2020. 8. 27.)

 

<정의로운 한국뉴스>
<저 작 권 자(c) 인터넷 한국뉴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려 0 내려 0
최성한 기자, 메일: c6550@hanmail.net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대구고용노동청, 추석 명절 대비 체불예방 집중지도기간 운영 (2020-09-03 17:44:43)
계명대 동산병원-달서구 “달서구민 건강UP” 사업 시행 (2020-09-03 17:3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