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구름많음 서울 19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사회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대구한의대 박동균 교수, 우리나라 마약의 실태와 위험성, 대책에 대해 발표
- 한국행정학회 학술세미나에서 마약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논문 발표 및 토론 -
등록날짜 [ 2019년06월17일 21시26분 ] | 최종수정 [ 2019년06월17일 21시31분 ]

대구한의대학교(총장 변창훈) 경찰행정학과 박동균 교수는 지난 15일 학술정보관 세미나실에서 개최된 (사)한국행정학회 학술세미나에서 최근 서울 강남 버닝썬 사건으로 사회문제로 떠오른 마약범죄와 관련해 “우리나라 마약의 실태와 위험성, 대책”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발표했다.

 

UN은 인구 10만 명당 마약류 사범이 20명 미만인 국가를 마약 청정국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마약류 사범 수는 인구 10만 명당 25.2명꼴로 마약 청정국 기준을 이미 넘어섰다. 즉, 우리나라도 이제 마약으로부터 안전한 사회가 아니다.

 

이에 박동균 교수는 마약은 자신의 정신과 육체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불안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성범죄, 강도, 폭력, 살인 등 강력범죄와 연계 되며, 마약투여 유통 등 1차 범죄는 물론 약물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성범죄와 불법촬영 등 2, 3차 범죄까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 마약사범은 예전에는 남성이 절대 다수였지만 최근에는 여성의 비율이 20%를 초과했다. 연령별로도 20대는 2012년만 해도 8.3%에 그쳤으나 2016년에 이후 13%를 넘어섰다. 과거에는 일부 연예인, 유흥업소 종사자들 사이에서 은밀하게 사용되던 마약류가 최근에는 가정주부, 직장인 심지어는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확산되고 있는 추세로 매우 심각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우리 사회에서 마약사범이 증가한 이유는, 과거 중독자 중심으로 유통하던 마약이 최근에는 SNS, 국제택배 등을 통해서 일반인들도 쉽게 마약을 구입할 수 있게 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사진: 한국행정학회 학술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하고 있는 박동균 교수
 

아울러 박동균 교수는 “이미 우리 생활주변에 마약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강력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마약에 대한 대책은 생산의 제한, 반입의 차단, 투약자 처벌, 계몽과 치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마약의 최근 유통경로를 파악하여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마약사범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동시에 중독자들에 대한 치료 역시 필요하다. 마약의 중독성 때문이다. 이는 마약사범에 대한 정신적, 병리학적 치료와 함께 사회적으로도 선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학술세미나에는 대학 교수와 현직 경찰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0여명이 참여해 우리나라 마약의 실태와 위험성에 대해 심도있는 토론을 진행했다.

 

박동균 교수는 국내 치안행정 분야의 전문가로 안전 및 위기분야의 우수한 연구업적과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다양한 정책대안 제시, 논문 발표 등 활발한 학술활동을 하고 있으며, 한국치안행정학회장, 한국경찰연구학회장, 사단법인 국가위기관리학회장을 역임했다.

 

<정의로운 한국뉴스>
<저 작 권 자(c) 인터넷 한국뉴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려 0 내려 0
최성한 기자, 메일: c6550@hanmail.net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대구한의대 장수찬 교수, 영국 온라인 시스템 우수논문에 선정 (2019-06-20 15:48:26)
쓰러진 노인을 심폐소생술로 소중한 생명을 살리다 (2019-06-15 21:2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