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구름많음 서울 19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사회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17만 동문, 세상 곳곳에서 계명 정신을 발휘하다
- 계명대 동문, 설립 정신인 나눔과 봉사, 도전적 개척 정신을 몸소 실천 각자의 위치에서 인정받으며 계명대의 든든한 버팀목 돼줘
등록날짜 [ 2019년05월11일 20시46분 ] | 최종수정 [ 2019년05월11일 20시54분 ]

 

▲계명대 성서캠퍼스 본관 벽에 걸려 있는 타불라 라사 액자로 정직한 노력으로 실력을 쌓는 계명대의 정신이다

 

계명대학교가 올해로 창립 12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899년 대구에 영남지역 최초로 설립된 의료기관 제중원(濟衆院)을 모태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계명대가 추구하는 대학의 가치와 노력을 창립기념일(5월 20일) 이전까지 8회에 걸쳐 보여주려고 합니다. 이는 120년 동안 쌓아온 전통을 돌아보면서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나아가는 의지입니다.

 

 

▲사진: 계명대 성서캠퍼스 본관 앞에 교석인 청금석 일명 라피스 라줄리가 있다. 이 돌은 지혜를 주어 성공으로 이끈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동문들이 마련해 학교에 기증했다.

 

7편) 17만 동문, 세상 곳곳에서 계명 정신을 발휘하다.

 

중국 샤오펑 모터스 디자인총괄, 전 메르세데스 벤츠 디자이너 우도영(51), 뉴욕박물관 아트 디렉터 황지은(41), 이제석광고연구소 대표 이제석(남, 38세), 일본 JVC 캔우드 디자이너 최정주(남, 36세). 이들은 편견과 역경을 딛고 자신(만)의 길을 걸으며 해당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2016년 리우올림픽 양궁 2관 장혜진 선수, 88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 김재엽, 94년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금메달리스트 김소희, 98년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금메달리스트 안상미 선수도 각 분야에서 최고로 꼽힌다. 이들 모두의 공통점은 바로 계명대(총장 신일희) 출신이라는 점이다.

 

올해로 창립 120주년을 맞은 계명대는 지금까지 17만 동문을 배출했다. 이들은 계명대를 지탱해주는 든든한 힘이다. 계명대 동문들은 정계와 재계, 법조계, 언론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계명대 정신을 실현하는 리더로서 역할을 해내고 있다.

 

광고천재로 불리는 이제석 동문의 이야기는 유명하다. 이 대표는 계명대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했다. 졸업 후 지방대 출신의 평범한 취업준비생에 불과했던 그는 재학시절 수십 번의 공모전에 출품했지만 단 한 개의 수상실적도 없었다. 국내 주요 광고회사에 취업의 문을 두들겼지만 서류전형도 통과하지 못했다.

이 대표는 수많은 실패에도 불구하고 광고에 대한 집요한 철학과 비전을 무장한 채 미국으로 건너간 지 1년 만에 세계가 주목하는 광고 천재로 우뚝 섰다. 이후 그를 외면했던 국내 광고회사들이 그를 스카우트 하려고 했지만 이번엔 그가 거절했다.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겠다는 신념이 워낙 강했기 때문이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의 공익 광고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겠다는 목표를 실현하고 있다.

 

뉴욕역사박물관 아트 디렉터인 황지은 씨도 도전을 거듭해 꿈을 이루었다. 시각디자인과를 졸업 후 전시 디자이너의 꿈을 가지고 미국으로 건너갔다. 여러 직장을 거쳐 뉴욕역사박물관 인턴으로 취업했다. 동양인이라는 이유로 차별도 심했지만 그는 남들보다 더욱 노력하여 지금은 뉴욕역사박물관 아트 디렉터로 대규모 전시를 진행하며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

 

최정주 씨는 현재 일본 JVC 캔우드 디자이너로 활동하며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는“어떤 일이든 정답은 없다. 중요한 것은 자신감”이라며, “고민하고 도전하고 끊임없이 생각하고 행동하며 도전하면 꿈을 이룰 수 있다”고 했다.

 

껀나파 분마럿(여. 37)은 2017년 계명대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태국 탐마삿 대학교에서 언론영상학을 전공하고 패션잡지 모델로 활동하기도 했지만 어릴 때 꿈을 이루기 위해 계명대로 유학을 왔다. 태국에 있을 때 이루지 못한 꿈은 문득문득 생각났다. 더 이상 꿈을 외면하는 건 시간이 지나 후회가 될 것 같아 유학길에 올랐다. 계명대 한국어를 공부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한 그는 현재 태국 왕립 탐마삿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가 됐다.

 

2017년 3월 서울 용산구 4층짜리 다가구 주택 화재에서 인명을 구한 최길수 소방관도 계명대 동문이다. 최 소방관은 당시 결혼을 며칠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도 아이 2명과 부모가 집안에 남아 있다는 사실을 알고 불길 속으로 뛰어들어 모두 구출했다. 본인은 탈출 과정에서 화상과 척추골절상을 입어 결혼식까지 미뤄야 했다. 그는) ‘LG의인상’을 받았다.

 

지난해 10월 49년 만에 모교를 찾아 학교에 1만 달러를 기부한 민난희 여사(73세)는 1969년에 계명대 00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갔다. 살아오면서 모교를 한 번도 잊은 적이 없다.

어려운 시절 계명대학교의 장학금으로 학교를 마치고 몬타나주립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시애틀 대학에서 강의를 했다. 남편의 사업으로 한국을 방문 중 모교를 찾아 후배를 위해 장학금 1만 달러를 내놓았다.

 

최근 계명대 취업스터디‘괴물’출신 졸업생들이 후배들을 위해 장학금 1200만원을 내놓았다. 계명대 취업스터디‘괴물’은 2006년에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모임으로 자신의 분야에서 최선을 다하고 열정을 쏟아 ‘최고가 되자’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150여 명의 졸업생이 배출됐다. 이들은 모두 사회 초년생들로 작은 월급이지만 취업에 성공하고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건 모교의 지원 덕분이라고 했다. 최길수, 민난희, ‘괴물’출신 졸업생은 계명대의 나눔과 봉사, 희생정신이라는 계명대 정신을 실천에 옮긴 동문이다.

 

이재하 계명대 총동창회장(대구상공회의소 회장)은“모든 동문이 자부심을 갖고 새벽 하늘을 밝히는 샛별(계명성)처럼 세상을 밝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의로운 한국뉴스>
<저 작 권 자(c) 인터넷 한국뉴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려 0 내려 0
최성한 기자, 메일: c6550@hanmail.net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대구공업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계열 중국 북경난산제과학교, 중국 국영기업 SUNKEEN사와 MOU 체결 (2019-05-14 06:17:40)
제23회 계명교사상에 이상철, 배태식, 공수권 교사 수상 (2019-05-11 06:4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