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수성못페스티벌 수성무대 오케스트라 공연 모습
❍ 축제는 끝났지만 축제영상공모전은 이제부터
수성문화재단(이사장 김대권)이 개최한 수성못페스티벌이 9월7일(금)부터 9일(일)까지 3일간의 잔치를 성황리에 마쳤다.
‘우리 다시 또 같이, 하나의 꿈’을 테마로 진행된 축제에 관객들은 개막축하공연 ‘수상음악회’부터 마지막 공연 ‘올바운스’까지 뜨거운 박수를 보냈다.
특히 주제공연 ‘둥지 2018’은 150여명의 시민합창단과 2천여명의 관객들의 하나의 꿈을 노래하는 대합창을 연출하며 축제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했다.
축제 방문객도 들안길을 포함해 지난해보다 2만명 정도 증가한 17만5천여명으로 집계됐다.
상화동산 잔디공원 전역으로 확장한 ‘예술놀이터’는 지난해에 이어 가족방문객들로부터 가장 큰 사랑을 받았다.
어린이들과 가족들은 잔디 위에 마련된 놀잇감을 활용해 저마다의 놀이를 스스로 만들며 신나는 오후를 보냈고, ‘서커스 놀이터’에서는 저글링, 나무다리, 줄타기, 공중곡예 등을 체험하며 신기하게만 느껴지던 서커스에 도전해보기도 했다.
상화동산 원형광장과 못둘레 곳곳에서 진행된 거리예술공연은 보는 이들의 탄성을 자아내며 관객들을 매료시켰다.
그중에서도 하늘로 비상하려는 인간의 꿈을 그린 공연들이 큰 주목을 받았다. ‘외봉인생’의 주인공이 봉 끝에서 땅으로 수직낙하하는 순간 수백명의 관객들은 아찔한 탄성을 터뜨리며 감탄을 자아냈다.
축제장 입구에 마련된 추억의 빨간 전화박스는 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시켰고, 추억을 떠올리며 전화를 들게 만들었다.
새로운 축제공간으로 조성된 울루루문화광장에서는 3일동안 아마추어 시민예술가들과 청소년 동아리들이 축제의 열기를 이어갔다.
남편 산책로에 자리한 아트마켓은 예술가들이 정성껏 만든 아트소품들로 방문객들의 발길을 멈추게 했다.
바람을 가르는 요트는 수성못에 새로운 풍경을 선사하였다.
토요일 하루 들안길에서는 50여개 음식점이 내놓은 대표 메뉴를 맛보려는 시민들로 성황을 이루었다.
밤하늘을 수놓은 아름다운 불꽃을 감상하며 시민들은 아쉽지만 내년 축제를 기약하였다.
김대권 수성구청장은 “올해 축제를 통해 시민들의 에너지를 확인했다.”고 소감을 내비쳤고, “내년에는 더욱 규모를 확대해 시민들이 주인되는 축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다짐을 밝혔다.
◆ 축제는 끝났지만 축제영상공모전은 이제부터
축제는 끝났지만 축제의 추억을 나누는 영상공모전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축제를 즐긴 모습을 2분 이내의 영상으로 만들어 SNS에 #수성못페스티벌 해시태그를 걸어올리고, 축제 홈페이지에 9월 21일(금)까지 영상링크를 남기면 된다.
심사를 통해 선정작에게는 1등 1백만원, 2등 5십만원, 3등 1십만원 등 상금을 수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