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항쟁 재연
►5·18 민주화운동 38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5·18 민주항쟁 제38주년 추모제'에서 유가족들이 헌화하고 있다.
제38주년 5·18민주화운동을 하루 앞두고 5월 영령에 대한 추모열기가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올해는 특별법 제정, 헌법전문수록, 당시 증언 등이 잇따라 쏟아져 나오면서 그날의 진실에 한걸음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전야행사가 그 어느때 보다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80년 5월 당시 수많은 시민들이 피를 흘렸던 동구 금남로 일대에선 시민들이 5월 광주를 기억하는 전야제가 펼쳐졌고, 국립 5·18민주묘지에선 추모제가 열리고 참배객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등, 시민들은 곳곳에서 오월 영령들의 넋을 기렸다.
올해 5·18행사에서 시민들은 그동안 왜곡·폄훼 되왔던 5·18의 인식이 개선되고, 발포명령자, 행방불명자 발굴 등에 대한 진실이 드러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5·18전야제가 열리는 동구 금남로 거리에 쏟아져 나온 시민들은 오후 4시부터 금남로를 메우며 마련된 체험부스에 참여했다. 또 38년 광주가 재현, 옛 전남도청 앞 분수대를 표현한 그림과 민주의 문 등이 설치됐다.
오후 5시 40분 민주평화 대행진에 참가한 시민들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한뒤 본무대 까지 행진했다.
오후 7시 부터 열린 전야제에서는 시민군 분장을 한 배우들이 38년전 항쟁을 거리극으로 재현했고, 죽은자와 산자를 매개하는 퍼포먼스를 본 시민들은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촛불을 든 시민들이 5·18정신 헌법 전문 수록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도 펼쳐졌다.
평화를 주제로 한 공연과 '5·18 항쟁과 세월호 진상 규명', '제주 4·3항쟁', '한반도 통일' 등이 적힌 5개의 대형 풍선을 주고받는 '대동 한마당'이 전야제의 대미를 장식했다.
앞선 이날 오전 국립5·18민주 묘지에서는 민주영령들의 숭고한 넋을 기리는 추모제가 거행됐다.
전통제례로 치러진 추모제에는 정춘식 유족회장, 김후식 부상자회장, 양희승 구속부상자회장이 각각 초헌, 아헌, 종헌을 맡았다.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주관으로 희생자 제례에 이어 놀이패 만원의 공연, 추모사 정춘식 5·18유족회장 인사말, 추모시 낭송,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헌화·분향 순으로 진행됐다.
정춘식 유족회장은"매년 이곳에서 추모식을 열 때마다 우리는 살아남은 자들의 의무를 이야기했다"며 "우리는 온전한 진실규명을 제대로 이루지 못한 죄인들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