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기념식에는 5000여명이 넘는 시민과 유족 등이 참석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불참한다. 또, 모든 국민이 입장 가능하도록 ‘국민 개방형’으로 치러졌던 지난해와는 달리 올해 행사는 초청자와 사전 신청자만 입장할 수 있도록 변경됐다.
국가보훈처는 “18일 오전 10시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 민주묘지에서 5·18민주화운동 38주년 기념식을 진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제38주년 기념식은 ‘오월광주, 정의를 세우다!’를 주제로, 5·18이 광주의 아픔에 머물지 않고 평화의 역사, 민주주의의 이정표로 자리매김한다는 의미를 국민과 함께 되새기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게 보훈처의 설명이다.
기념식 사회는 5·18민주화운동을 주제로 제작된 영화 ‘임을 위한 행진곡’의 주인공 김꽃비와 김채희가 맡는다. 이들은 기념식 중간에 공연되는 시네라마(Cinerama) 형식 공연의 의미에 대해서도 설명할 예정이다.
기념식은 추모공연과 헌화분향, 경과보고를 시작으로 국민의례, 기념사, 기념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의 순으로 50분간 경건하게 진행된다.
지난해처럼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는 것은 물론 유가족을 위로하는 순서도 들어있어 지난해 기념식의 감동이 올해 행사에서도 이어질 전망이다.
올해 기념식 참석인원은 5000여명으로 5·18민주화운동 유공자와 유족, 5·18과 관련이 있는 외국인들도 참석한다. 5·18민주화운동을 세계에 알린 언론인 고(故) 위르겐 힌츠페터의 부인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 헬기 사격을 증언한 고(故) 찰스 베츠 헌틀리 목사의 부인 마사 헌틀리, 고(故) 아놀드 피터슨 목사의 부인 바바라 피터슨, ‘2018 광주인권상’ 수상자인 스리랑카 출신 난다나 마나퉁가 신부 등이 참석해 5·18의 의미를 기릴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