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흐림 서울 17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대구경북뉴스 > 대구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한국말이 아름다워 유학왔다 교수되어 태국으로 귀국하는 계명대 대학원생 껀나파 분마럿
- 껀나파 분마럿, 계명대서 한국학 박사학위 취득, 모국에서 교수로 임용
등록날짜 [ 2018년02월14일 23시18분 ] | 최종수정 [ 2018년02월14일 23시27분 ]

 

▲사진: 계명대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태국 탐마삿 왕립 대학교에 교수로 임용된 껀나파 분마럿

 

- 모델 활동하다 한국말 공부하고 싶어, 어학연수를 온 것이 계기가 되어 박사학위까지 취득

 

“옛날부터 꿈꾸던 교수가 됐어요”

이번에 계명대(총장 신일희) 대학원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전공하고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태국 왕립 탐마삿 대학교 교수로 임용된 껀나파 분마럿(여, 36세)씨는 이처럼 말했다.

그녀는 태국 탐마삿 대학교에서 언론영상학을 전공하고, 패션잡지모델로 활동하던 중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고 2007년 무작정 계명대 한국어학당으로 유학을 왔다. 처음 한국어와 중국어, 일본어 중 어떤 언어를 공부할까 고민했다고 한다. 한국어를 선택해 공부하던 중 2008년부터 태국에 한류열풍이 불면서 한국어 공부를 더욱 열심히 하는 계기가 됐다고 한다.

 


 

▲사진: 계명대 껀나파 분마럿이 13일 열린 대학원 학위수여식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고 있다(좌측 껀나파 분마럿, 우측 신일희 계명대 총장)

 

13일(수) 11시, 계명대 아담스채플에서 열린 2017학년도 대학원 학위수여식에 참석한 껀나파 분마럿은 “처음에는 단순히 한국어를 공부하고 싶어 어학연수를 시작했다”며, “한국어를 공부하고 한국에 살면서 더 많은 것을 공부하고 싶어졌고 박사학위까지 따게 됐다”며 졸업 소감을 말했다.

 


 

▲사진: 껀나파 분마럿 교수

 

2011년 계명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석사과정을 시작한 그녀는 어릴 적부터 꿈이었던 교수의 꿈을 키워갔다. 이후, 2013년 박사과정으로 진학해 이번에 학위를 취득해 모국인 태국으로 돌아가게 됐다. 또, 태국 왕립 탐마삿 대학교의 한국학과 교수로 정식 임용되면서 꿈도 이루게 됐다.

 

“모델 활동을 잠깐 하긴 했지만, 학생들을 가르치고 싶은 꿈을 포기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인지, 석사논문으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종성 발음을 중심으로’, 박사논문으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억양 교육 연구’등을 발표하며, 태국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겠다는 뜻을 이어갔다.

 

유학 기간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태국의 공주가 방한했을 때 통역을 맡은 일이라고 했다. 우본라따나 라차깐야 태국 공주는 2013년, 2014년, 2016년 3차례 부산국제영화제 참석차 방한했다. 당시 남부지역에 유일한 태국 유학생이었던 껀나파는 태국 대사관의 요청으로 통역을 맡았다.

“한국어를 공부한 것이 정말 잘 한 선택이라고 느꼈다”, “공주님 바로 곁에서 통역을 하며 인연을 만들 수 있었다는 건 정말 큰 영광이었다”고 말했다.

 

한국에 수많은 대학들 중 계명대서 학위를 따기로 결심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복잡한 서울보다 한국어학당이 있는 계명대가 공부하기 더 좋은 조건이라고 생각해 어학연수를 시작했다”, “이후 대학원 진학을 결심했을 때도 아름다운 캠퍼스와 친구들에 정이 들어 계속 계명대서 공부하는 게 좋을 것 같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사계절과 자연환경, 살기 좋은 편리한 여건, 치안 등 다 마음에 들지만, 한국의 독특한 문화 중에 하나인 ‘정’이란 걸 배울 수 있어 더욱 좋았다”고 말하며, 한국을 떠나게 아쉬움을 표현했다.

“꿈을 이루고 한국을 떠나지만, 너무 그리울 것 같다”며, “특히, 한국의 겨울은 너무 매력적이어서 스키가 너무 타고 싶을 것 같아 걱정이다”고 농담도 건냈다.

 

마지막으로 그녀는 “10년 가까이 한국에 살면서 배우고 느낀 점들을 태국사람들과 나누고 싶다”며, “교수로서 이론적인 부분은 물론 제2의 고향인 한국을 널리 알리는 전도사의 역할을 하며, 항상 한국을 그리워 할 것이다”고 했다.

 

※ 문의처: 김선정 계명대 국제처장(☏053-580-6310, 010-4489-5355)

 

<정의로운 한국뉴스>
<저 작 권 자(c) 인터넷 한국뉴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려 0 내려 0
최성한 기자, 메일: c6550@hanmail.net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대구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교육인증 모니터링 사업 평가 교육인증 획득 (2018-02-15 09:01:46)
계명대 산학인재원, 달서구 지역 문제해결을 위한 상호협력 협약 체결 (2018-02-14 22:4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