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흐림 서울 21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정치행정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김승수 의원 “글로벌 K관광 도약을 위한 AI관광 정책 대안 제시 자료집 발간”
등록날짜 [ 2025년10월14일 12시45분 ] | 최종수정 [ 2025년10월14일 12시49분 ]

 

▲ 김승수 의원(국민의힘_대구북구을)

 

- ➀ AI관광 거버넌스 구축 ➁ 일자리 전환과 인간적 서비스 품질 유지 ➂ 관광 중소기업 AI전환 격차 해소 및 상생 지원 등 제안

- 김승수“AI강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선제적 AI관광 생태계 구축해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승수 의원(국민의힘, 대구 북구을)은 ‘25년 국정감사를 준비하며, 대한민국이 글로벌 K관광으로써 도약할 수 있도록 AI관광 정책제안 자료집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정책제안 자료집은 아직까지는 국민들에게 생소한 AI관광에 대한 개념과 현재 시행하고 있는 AI를 활용한 교통⋅모빌리티 분야의 노선 최적화, 예측 정비, 교통 혼잡 예측, 자율주행 셔틀, 여행사⋅OTA의 맞춤형 여행상품 추천 등 실제로 체감하고 있는 AI관광 사례를 나열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에서 관리하고 있는 실시간 도시 데이터 플랫폼의 사례는 서울시가 2022년부터 운영, 시내 주요 관광지⋅상권⋅공원 등 50여 개소의 인구 혼잡도와 교통 상황을 시민과 관객에게 제공하고 관광객 분산, 교통 혼잡 완화에 안전 관리까지 동시에 지원하고 있는 사업 등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AI관광의 영향과 관련 주요 이슈를 국민의 눈높이에서 분석했다.

 

또한, 가속화되고 있는 AI관광의 미래와 그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이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

 

총 6개 AI관광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과 추진과제를 나열하였으며, 첫 번째로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윤리 강화를 위한 AI 관광 거버넌스 구축을 제안했다.

 

현재 AI관광 서비스는 대규모 데이터 수집⋅분석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고객 개인정보와 위치⋅소비 데이터 등 민감한 정보가 대량으로 활용됨에 따라 개인정보 침해, 데이터 편향 등에 우려가 있다. 특히, 최근 일어난 SKT, KT의 개인정보 유출에서도 드러났듯 충분한 개인정보 보호정책과 R&D투자가 뒷받침 하지 못하면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자료집에서는 데이터 관리⋅보호 체계 강화를 위한 암호화⋅익명화, 국가 인증 및 정기 보안감사 의무화 등을 대안 제시하고 있다.

 

또한 AI시대에 사회적으로 가장 우려되고 있는 일자리 감소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는데, 현재 관광산업 전반에서 AI도입으로 예약⋅안내⋅응대 등 반복적⋅정형 업무의 자동화가 본격화되어 많은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는 현상에 대해서도 대안을 제시했다.

 

자료집에서는 AI기술만으로는 고객 기대에 부응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지적하며, 특히 외래관광객 응대 과정에서의 문화적 민감성과 신뢰 형성 등은 인간 중심 서비스가 갖는 고유한 강점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관광산업 직무 구조 재편 로드맵을 수립하여 산업 분야별 직무 변화 예측 및 중장기 고용 영향 분석, 일자리 전환 정책 인센티브 설계를 제시했다.

 

뿐만 아니라, 관광 종사자 직무 전환 및 재교육 체계로 현장 종사자 대상 디지털 역량 진단과 맞춤형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중장년층⋅프리랜서 등 디지털 취약계층 대상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교육 등으로 참여 장벽 완화 등도 제시했다.

 

이 외에도 자료집에서는 ‘관광 중소기업 AI전환 격차 해소와 상생지원’, ‘AI 관광에서 발생하는 허위 정보⋅환각 대응’, ‘관광경험 개인화 및 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재방문⋅체류연장 유도’,‘AI 관광 인프라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등에 대해서도 심도있는 분석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김승수 의원은 “현재 관광대국이라 불리는 미국⋅일본⋅유럽 국가들에서는 AI를 접목한 AI관광 산업이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 ”며 “K관광이 전세계에서 우뚝서기 위해서는 AI관광을 선도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김 의원은 “최근 케이팝 데몬 헌터스, K뷰티의 인기에 힘입어 대한민국을 찾는 관광객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러한 중요한 시기 AI를 접목한 AI관광을 견고히해 관광객을 분석하고 또 오고싶은 K관광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K관광이 세계적으로 우뚝서기 위해서는 지역균형발전이 이루어 져야 한다”며“현재 해외 방문객들의 수도권 집중화를 넘어 AI를 접목해 대구, 부산, 광주 등 지방도시까지 유입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정의로운 한국뉴스>
<저 작 권 자(c) 인터넷 한국뉴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려 0 내려 0
최성한 기자, 메일: c6550@hanmail.net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이상휘 의원 “AI는 기회이자 재앙, 조작 콘텐츠 통제 없는 혁신은 혼란 부른다” (2025-10-13 23:23:29)